티스토리 뷰
목차



금은 오랫동안 ‘안전자산’으로 불리며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을 사고팔 때 단순히 시세만 보고 거래하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10월 기준 ‘금 매매’의 정확한 절차, 시세 기준, 그리고 주의사항을 공신력 있는 기관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1. 금 매매의 기본 개념과 시세 기준
‘금 매매’란 금을 사고파는 행위를 말하며, 실물 금 거래(예: 골드바, 주얼리)와 금융상품 거래(금통장, KRX 금 현물시장)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실물 금 거래는 세공비, 부가세, 감정비 등의 부가비용이 발생하지만, 금융상품 거래는 이런 비용이 없습니다.
금 매매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당일 시세 확인입니다. 한국금거래소, 한국거래소(KRX), KB국민은행은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2시 두 차례 금 시세를 공시합니다. 이 시세는 국제 금가격(트로이온스 단위)과 원·달러 환율을 반영해 계산됩니다.
2025년 10월 28일 기준 금 시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순금(24K) 1g = 184,000원
- 순금 1돈(3.75g) = 690,000원
- 18K 금 1돈 = 517,000원
- 14K 금 1돈 = 404,000원
이 금액은 2024년 평균보다 약 11% 높은 수준입니다. 국제 금가격이 트로이온스당 2,450달러, 환율이 약 1,380원으로 유지되며 금 시세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2. 금 매매 절차와 방법
금 매매는 목적에 따라 실물 거래와 금 계좌 거래로 나뉩니다. 각 방법에 따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실물 금 매매 (골드바·주얼리)
실물 금을 살 때는 한국금거래소, 한국조폐공사, KRX 인증 매장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을 이용해야 합니다.
실물 매입 시에는 부가세 10%가 추가되며, 주얼리 제품은 세공비까지 포함되어 공시가보다 10~20% 비쌉니다. 팔 때는 감정비(1~2%)와 매입 수수료가 공제되어 공시가보다 3~5% 낮게 거래됩니다.
② 금통장 (KB·신한 등)
은행 금통장은 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부가세가 붙지 않으며, 금값 변동에 따라 수익이 발생합니다. 매도 시 차익은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에서 쉽게 개설 가능합니다.
③ 한국거래소(KRX) 금 현물시장
KRX 금 현물시장은 실물 금을 거래하되, 계좌상으로만 보유하는 방식입니다. 1g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며, 부가세가 면제됩니다. 매수한 금은 언제든 실물로 인출 가능하고, 거래소를 통한 인증으로 신뢰성이 높습니다. 현재 개인 투자자 비중이 전체의 약 3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금 매매는 투자 목적(차익, 분산 투자, 실물 보유)에 따라 방법을 다르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금 매매 시 유의사항과 팁
1) 매입가와 판매가의 차이 이해
공시된 금 시세는 기준가로, 실제 거래 시에는 매입가(팔 때)와 판매가(살 때)가 다릅니다. 보통 매입가는 공시가보다 3~5% 낮고, 판매가는 부가세와 세공비 포함 약 10~15% 높습니다. 즉, 1돈 시세가 69만 원일 때 실제 판매가는 약 76만 원, 매입가는 약 66만 원입니다.
2) 세금 구조 확인
금통장과 KRX 금 현물시장에서는 부가세가 없지만, 실물 금을 구매할 경우 부가세 10%가 추가됩니다. 단, 투자용 순금 골드바는 실물 인출 전까지 과세되지 않으며, 인출 시 부가세가 부과됩니다.
3) 거래처 신뢰성 확인
금 매매는 반드시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해야 합니다. 한국금거래소, 한국거래소(KRX), KB국민은행, 한국조폐공사 등은 순도(999.9), 중량(g), 일련번호를 공식 보증합니다. 비공식 업체나 중고 거래는 감정 결과 불일치나 위조 금 리스크가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4) 매매 시점 전략
2025년 현재 국제 금가격은 트로이온스당 2,450달러, 환율은 1,380원 수준으로 고점 구간에 있습니다.
단기 매도(이익 실현)를 고려하기 좋은 시기이며, 신규 매수는 분할로 접근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금값은 장기적으로 물가와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장기 보유 시 안정적 자산 가치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2025년 10월 기준 ‘금 매매’ 시세는 1g 약 184,000원, 1돈 약 690,000원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국제 금가격 상승과 환율 강세가 금값을 지지하고 있으며, 실물 금뿐 아니라 금통장과 KRX 금 현물 거래를 통한 비과세 투자도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금 매매를 계획하신다면 반드시 공신력 있는 기관의 실시간 시세를 기준으로 삼고, 세금·수수료·부가세를 포함한 실거래가를 꼼꼼히 확인하세요. 금은 단기 투기보다 장기적 자산 보존에 유리한 안정형 투자 수단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