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금값이 연일 오르내리는 요즘, 14K 금을 찾는 분들도 많습니다. 오늘은 ‘14K 금시세’를 기준으로 순도, 실제 거래가, 변동 요인까지 정확한 기관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1. 14K 금시세란 무엇인가?
14K 금시세는 순도 약 58.5%의 금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단가를 말합니다. 즉, 전체 중 금이 58.5%, 나머지는 은·구리 등의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4K 금은 내구성이 높고 색상이 단단하여 일상용 주얼리나 커플링, 팔찌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순금(24K)에 비해 변색이나 마모가 덜하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해 실용적인 선택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2025년 10월 기준으로 한국금거래소가 고시한 14K 금 1그램당 매도 시세는 약 108,000원, 매입 시세는 약 100,000원 수준입니다.
이는 같은 시점의 18K 금시세(약 139,000원)보다 낮고, 순금(24K) 금시세(약 184,000원) 대비 약 40% 저렴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실물 주얼리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에게 부담이 적고, 예산에 따라 선택 폭이 넓습니다.
14K 금시세는 국제 금가격, 환율, 금속 수요와 공급, 부가세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단순히 순도만 낮은 것이 아니라, 합금 비율에 따라 제조 단가가 달라지므로 브랜드마다 시세 차이가 존재합니다.



2. 14K 금시세 확인 방법과 현재 시세 흐름
14K 금시세는 한국금거래소, KB국민은행, 한국거래소(KRX)에서 매일 고시하는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한국금거래소는 소비자 거래 기준으로 24K·18K·14K 금시세를 각각 고시하며, 순도별 매입·매도 가격을 공개합니다.
- KB국민은행은 금 통장 거래용 1그램 기준 금시세를 국제 금가격과 환율을 반영해 제공합니다.
- KRX 금시장은 국가 공인 금 현물 거래소로, 금 1그램 실시간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산출된 금시세를 제공합니다.
2025년 10월 28일 기준 14K 금시세는 1그램 약 10만 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1돈(3.75g)으로 환산하면 약 37만 5천 원 정도입니다. 이는 원화 약세와 국제 금가격 상승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입니다.
올해 초만 해도 14K 금 1그램 시세는 9만 원대였지만, 환율 상승과 글로벌 지정학적 불안정으로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주얼리 시장에서는 금시세에 세공비와 부가세가 추가되므로, 소비자가 실제로 지불하는 금액은 시세보다 10~20%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제품을 구입할 때는 “순금시세 대비 비율”과 “세공비 포함가”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3. 14K 금시세 변동 요인과 활용 팁
금시세에 영향을 주는 요인
14K 금시세는 기본적으로 국제 금가격, 환율, 금리 정책,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됩니다.
금값은 달러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달러 약세가 오면 국내 금시세가 상승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또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전쟁이나 정치 불안 등도 금시세를 밀어올리는 주요 원인입니다.
실제 거래 시 주의할 점
14K 금은 순금보다 가공비 비중이 높아 브랜드나 디자인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큽니다.
금시세는 동일하더라도 세공 난이도와 브랜드 마진이 붙기 때문에, 같은 중량이라도 매장마다 최종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매입 시에는 제품 손상이나 불순물 비율에 따라 감가가 발생하므로, 정품 인증서와 순도 보증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효율적인 구매·투자 팁
금제품을 투자 목적으로 구매한다면 세공비가 적은 디자인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한 팔찌나 목걸이 형태는 되팔 때 손실이 적습니다.
또한 금시세는 하루에도 여러 번 변할 수 있으므로 거래 전 한국금거래소 공시가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금 통장이나 KRX 금현물 거래를 통해 실시간 시세에 맞춰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14K 금은 실용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갖춘 금 제품으로, 최근 금시세 상승에도 꾸준히 수요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공식 기관에서 제공하는 시세를 기준으로 매입·매도 타이밍을 잡고, 부가 비용을 꼼꼼히 비교한다면 손해 없는 거래가 가능합니다.
금값은 단기적으로 등락이 있더라도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으므로, 자신의 목적에 맞게 꾸준히 시세를 확인하시길 권합니다.


